본문 바로가기
세상이 변한다./지구는 위기

<화와이 화산>'용암강'으로 뒤덮인 하와이섬,화산 분화구에 무슨 일이?

by 이세덕 2018. 6. 20.

<화와이 화산>'용암강'으로 뒤덮인 하와이섬,화산 분화구에 무슨 일이?

<화와이 화산>'용암강'으로 뒤덮인 하와이섬,화산 분화구에 무슨 일이?

 
   

화와이 용암강

 

4주째 멈추지 않는 용암 ... "영화 '볼케이노' 연상"

지난 3일(현지시각) 처음으로 용암을 분출한 하와이주 하와이 섬(일명 빅아일랜드)의 킬라우에아 화산이 4주째 진정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용암과 유독가스를 내뿜는 기세가 더욱 맹렬해졌다. 약한 지반을 뚫고 용암이 분출하는 통로가 된 '균열(fissure)'들에서 흘러나온 용암이 만나 거대한 '용암 강(lava river)'을 형성하기도 한다. 어두컴컴한 대지를 온통 붉게 뒤덮은 용암 강을 놓고 외신들은 "장관 아닌 장관", "영화 '볼케이노'가 연상된다"고 전했다. 킬라우에아 화산 인근에 지금까지 발생한 균열은 모두 24개. 외신이 가장 주목하는 균열은 '7번 균열'이다. '7번 균열'은 분출하는 용암의 양도 가장 많을 뿐 아니라 용암이 두 갈래로 나뉘어 인근 지열발전소와 바다로 동시에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24번 균열'의 위력도 만만치 않다. 접근 금지 지역인 푸나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2천여 명이 대피생활을 이어오고 있는 가운데 '24번 균열'은 인근 레알라니 에스테이츠 주민들까지 위협해 이곳에도 강제 대피령이 내려졌다. 균열들의 활동이 지속되는 것도 문제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멈춘듯하던 균열에서 다시 용암이 분출되는 경우도 있다. '8번 균열'과 '16번 균열'이 그렇다. 꺼진 불도 다시 봐야 하는, 안심할 수 없는 이유다.


우주에서 포착된 용암 강  

용암 강들이 4주째 쉬지 않고 확장하면서 하와이 섬 땅 위로 솟구친 용암의 영향권은 반경 40㎞까지 확대된 상태다. 우주에서도 용암 강이 보일 정도다. 최근 유럽우주국(ESA)이 공개한 사진에는 푸른 녹지를 집어삼키며 바다까지 다다른 용암의 모습이 선명하다. 용암만 문제가 아니다. 킬라우에아 화산 분화구와 균열들이 내뿜는 화산재와 유독가스도 사람들을 위협하고 있다. 수천 미터까지 치솟은 화산재는 바람을 타고 하와이 섬 남서쪽으로 계속 번지고 있다. 일주일 넘게 바다로 흘러들고 있는 용암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잠재적 시한폭탄'으로 여겨지고 있다. 용암이 바닷물과 만나 화학작용을 일으키면 염화수소나 염산 성분을 머금은 증기가 피어오르는데 여기에 닿으면 피부와 눈은 물론 폐까지 위험할 수 있다고 한다. 바다로 쏟아지는 용암의 흐름이 끊이지 않으면서 유독성 증기가 섬 전체에 퍼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열발전소 덮친 용암  

 

 발전소 폭발 막아라! ... '진흙 공수 작전'

화산 용암은 하와이 섬 전력의 25%를 공급하는 푸나 지열발전소까지 위협하고 있다. 발전소는 화산 분화 직후 폐쇄된 상태다. 하지만 '7번 균열'과 '21번 균열'에서 나온 용암이 이 발전소의 지열정(지열을 끌어올리기 위해 2Km 내외 깊이로 파놓은 구덩이) 중 1개를 뒤덮은 상황이다. 섭씨 2천 도의 용암이 지열정 안으로 흘러들어 가면 엄청난 폭발과 유독가스 분출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지만, 지금까지 지열정이 용암에 덮힌 전례가 없어서 어떤 영향이 있을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발전소 터빈을 돌리는 데 사용되는 가연성 펜틴 6만 갤런(22만 7천 리터)은 안전한 곳으로 옮겨진 상태다. 이런 가운데 LA에서 출발한 특별 항공기가 90톤 정도의 진흙을 싣고 발전소로 날아왔으며 용암이 흘러들어 가기 전 이 진흙으로 지열정을 메울 계획이라고 현지매체인 하와이뉴스나우가 전했다.



용암이 집어삼킨 집  

 

"정든 집 못 떠난다" ... 용암과 사투 중인 주민들

용암 분출 이후 가장 바쁜 곳 중 한 곳이 하와이 민방위국이다. 민방위국은 갑자기 용암에 포위된 주민들을 구조하거나, 용암의 이동 경로를 예의주시하며 위험지대 주민들을 미리 대피시키는 일을 하고 있다. 언제 용암이 다가와 덮칠지, 용암에서 튀어나온 바위가 날아올지 알 수 없는 위험한 상황이지만 일부 주민들은 대피 명령이 떨어져도 집을 떠나길 거부하고 있다. 용암이 집을 집어 삼키기 직전까지 버티고 버티다 떠나는 경우도 있다. 주민 도나 씨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주변 용암 폭발 소리만 듣고도 위험한지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만큼 용암에 익숙해졌다는 얘기다. 이미 용암 파편에 맞아 만신창이가 된 집에서도 태연한 모습이었지만 정말 위험하다고 판단한 순간에는 취재진을 데리고 집안으로 피신했다. 도나 씨처럼 정든 집을 지키며 용암과 사투를 벌이고 있는 주민들의 무기는 기껏해야 소화기나 정원용 호스가 전부다.

50대 중반 정도로 보이는 한 여성은 용암에 불타고 있는 자신의 집을 바라보며 절규했다. 그리고 말했다. "우리 집은 단순히 집이 아니에요. 나의 꿈이고, 우리 가족의 추억이고 모든 것입니다." 하지만 용암 강의 위력 앞에 더 버티기는 힘들어 보인다. 용암으로 뒤덮히는 도로도 계속 늘어 당국의 걱정도 쌓여만 간다. 대피로가 끊겨 긴급 구조해야 하는 상황이 늘면서 해병대 헬기 투입도 준비돼 있다. 문제는 한 달 가까이 위기 상황이 이어지면서 모두가 지쳐가고 있다는 것이다. 용암으로 집을 잃은 루아나 존스 씨는 "우리가 말썽꾼도 아닌데 당국도 피곤해하고 있다. 내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고 성토했다. 용암이 휩쓸고 간 자리는 시커먼 잿더미만 남아 있다. 훗날 화산 활동이 안정되더라도 복구와 피해지원, 보험문제 등 난제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킬라우에아 분화구 변화 위성 사진  

 

화산 정상 분화구에서는 무슨 일이?

"앞으로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다" 전문가들도 주민들도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전문가들은 여전히 화산 활동이 언제 멈출지 모른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고 주민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불확실성의 이유는 아무도 땅속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단지, 지반의 변형과 이산화황 분출 농도 등을 통해 추측만 할 뿐이다. 미국 지질 조사국(US Geological Survey, USGS)은 용암과 섞여 있는 유독가스 중 메탄가스가 지하에 쌓이고 있어 폭발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렇다면 엄청난 양의 화산재와 가스를 내뿜고 있는 킬라우에아 화산 정상 할레마우마우(Halemaumau) 분화구의 상태는 어떨까? 과학자들은 할레마우마우 분화구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면 앞으로 화산과 화산 주변의 용암 분출이 어떻게 될지 어느 정도는 예상할 수 있다고 말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도 투입돼 킬라우에아 화산과 화산 주변 대기 질 조사와 균열의 확장 경로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가운데 최근 화산 정상 분화구 내 변화를 보여주는 위성사진이 공개됐다. 사진상에는 '정상 분화 통풍구(summit eruptive vent)'가 불과 일주일 만에 눈에 띄게 확장돼있다. USGS의 하와이 화산 관측소 전문가 짐 카우아히카우아 씨는 "이런 변화가 긍정적인 의미는 절대 아니다"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1924년 대폭발 직전 일어났던 많은 현상이 지금 현 상태에서 목격되고 있다. 그 확실한 증거 중 하나가 바로 '통풍구의 확대'다"라고 지적했다. 마그마는 화산 폭발 시 통풍구를 통해 분화구에 도달한다.

USGS 지질학자 티나 닐은 "하와이 화산은 1955년과 1960년 폭발 당시 각각 36일, 88일 동안 용암을 분출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고 말했다. 이번 용암 분출도 한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1924년 같은 대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경고음도 들리지만 화산 활동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는 낙관론도 제기되고 있다. 하루 빨리 낙관적 전망이 현실이 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