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리탐험/우주섭리 개벽79

<대한제국>대한제국大韓帝國의 몰락 대한제국大韓帝國의 몰락 대한제국大韓帝國의 몰락 러시아를 중심으로 독일과 프랑스가 뭉쳐 청나라를 이긴 일본의 대륙 침략의 기세를 꺾는 삼국간섭 이후 고종과 명성황후는 친러 반일 정책을 추진해 나갔다. 이에 일본은 경복궁을 습격해 황후를 살해하고 정권을 탈취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신변에 위협을 느낀 고종은 정동의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기는 이른바 아관파천俄館播遷을 단행한다. 하지만 이로 인해 러시아를 비롯해 열강들에게 각종 이권이 침탈되면서 국운이 크게 기울게 되었다. 이에 고종은 1897년 환구단圜丘壇을 세우고 상제님께 고유제告由祭를 올리며 국호를 대한大韓 연호를 광무光武로 선언하고, 대한제국大韓帝國이 자주국이고 천자국임을 만천하에 선포하였다. 이후 광무개혁을 추진하였지만, 일본의 방해로 큰 성과를 .. 2023. 10. 27.
<동학농민혁명>천하의 난을 동하게 한 동학혁명 천하의 난을 동하게 한 동학혁명 천하의 난을 동하게 한 동학혁명 19세기 후반 조선의 흥선대원군은 쇄국鎖國 정책을 고수하였다. 하지만 고종이 친정親政을 하면서 실각하였고, 정권을 잡은 명성황후를 위시한 조정 세력은 별다른 대책도 없이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체결해 문호를 열어 버렸다. 조선은 이후 미국과 가장 먼저 통상조약을 체결하고, 이후 다른 열강들과 연이어 통상조약을 맺었다. 그러나 왕조 말기의 무기력과 사회 전반에 걸친 부정부패, 그리고 비전 없는 외교 정책으로 조선 사회의 혼란은 가중되었다. 지배층은 외세에 빌붙어 정권을 유지하기에 급급하였고, 서구 열강에 이권을 빼앗기면서 국운이 심하게 기울고 있었다. 특히 조선을 둘러싼 청나라와 일본의 대립은 전쟁 직전까지 치닫고 있었다. 1882년 임오년에 구.. 2023. 10. 27.
<천지공사>세운 공사의 역사 배경 세운 공사의 역사 배경 세운 공사의 역사 배경 상제님께서 강세하신 1870년대는 서구 열강들에 의해 제국주의帝國主義 시대가 열리던 때이다. 15세기 말에 시작된 이른바 ‘지리상의 대발견, 대항해’의 시대부터 해외로 눈을 돌린 서구 열강들은 19세기 들어와 산업혁명의 성공으로 생산력이 폭발적으로 증대되자, 시장 개척과 자원 확보를 위해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으로 침략의 손길을 뻗쳤다. 18세기 영국과 청나라 사이에 가장 부도덕한 전쟁인 ‘아편전쟁阿片戰爭’이 일어나 청나라가 무력하게 영국에 패하였고, 이후 서구 열강들과 일련의 불평등 조약을 맺고 반식민지 상태로 빠졌다. 이 무렵 러시아는 동방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1860년에는 연해주를 차지하면서 조선과 국경을 마주하게 되었다. 동북 간방艮方의 땅 조선도 제.. 2023. 10. 27.
<천지공사>세운공사의 기틀 세운공사의 기틀 세운공사의 기틀 세운 공사世運公事란 인간 세상의 역사 운로, 곧 지구촌 역사의 운명을 정하신 상제님의 세계 정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역사歷史’는 정치, 사회, 경제, 문화를 다 포함하는 총체적 개념이지만, 이 글에서는 세운 공사의 중심 내용이 오선위기로 펼쳐지는 것을 고려해서 세계 정치사 또는 세계 정치 질서의 움직임으로 한정 지어서 보기로 한다. 상제님께서 보신 세운 공사에 따라 19세기 서양으로 기울어졌던 지구촌 힘의 질서가 이후 100여 년의 시간 동안 크게 세 번 굽이치면서 동서 간의 균형을 이루고, 상제님께서 강세하신 개벽의 땅, 한반도의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후천 상생의 새 세상이 열리게 되는 대변혁의 노정이 펼쳐진다. 이는 천상 조화정부가 인간 역사 속에 자리 잡혀 가는 과정.. 2023. 10. 27.
<황극경세서>황극경세서에서 360을 사용하는 이유 황극경세서에서 360을 사용하는 이유 황극경세서에서 360을 사용하는 이유 소강절 선생은 왜『 황극경세서』에서 원회운세와 년월일시를 도출할 때 360을 사용한 것일까요? 이에 대해 소백온(소강절선생의 아들)은 소식영허의 법칙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묻기를 기가 차면(기영氣盈) 366일이 되기도 하고, 또 삭이 부족하면(삭허朔虛) 354일이 되기도 하는데, 지금 ≪황극경세≫의 수는 360일을 기준으로 하니 어째서인가? 가로되 이는 모든 용用을 감추었기 때문이다. 소식영허消息盈虛의법이 그 사이에 있는 것이다.『 _황극경세서「』찬도지요」 소식영허의 법칙이란 태양의 기영과 달의 삭허를 없애는 방법을 뜻합니다. 태양의 공전주기(태양년)는 ‘365와 235/940’이고, 달의 공전주기(태음년)은 .. 2023. 9. 12.
<생장염장>시간의 변화법칙, 생장염장 시간의 변화법칙, 생장염장 시간의 변화법칙, 생장염장 시간의 변화법칙, 생장염장 불교의 시간관인 성주괴공은 사물의 변화현상을 설명하는데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물변화의 구체적인 모습이나 목적을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주가 만물을 낳아 기르고 성숙시켜 다음 시간대를 위해 저장한다’는 생장염장의 시간관은 변화현상뿐만 아니라 변화의 목적까지 설명하는 대자연의 변화법칙입니다. 현대과학은 여러 종류의 우주모형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생장염장의 순환시간관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우주모형이 미국의 물리학자 조지가모브가 주장한 진동우주론(Oscillating cosmology)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진동우주론은 우주의 역사가 팽창과 수축을 되풀이하면서 영원히 계속된다는 이론으로.. 2023. 9. 12.
<우주일년>은하1년의 성립 은하1년의 성립 은하1년의 성립 자전과 공전의 의미에 대해 좀더 살펴보겠습니다. 달은 스스로 자전(27.322일)하면서 지구를 공전(27.322일)하고 있습니다. 지구도 스스로 자전(1일)하면서 태양을 공전(365.242일)하고 있습니다. 모든 천체(주체)는 이처럼 스스로 자전하면서 동시에 대상(객체)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연의 운동법칙을 확대하면 태양이 또 다른 천체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천체도 또 다른 천체나 우리 은하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고 있다는 것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우리은하도 궁극에는 또 다른 중심이나 우주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고 있다는 결론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 우리 은하가 1회 자전하는 것을 은하년이라고 한다... 2023. 9. 9.
<원회운세>시간이 쌓여 이루는 생명의 질적인 대비약-우주1년 시간이 쌓여 이루는 생명의 질적인 대비약-우주1년 시간이 쌓여 이루는 생명의 질적인 대비약-우주1년 시간이 작은 단위에서 큰 단위로(→시일월년세운회원→) 커진다고 해서 시간이 직선으로 흐른다고 착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작은 시간이 쌓여 큰 시간을 이루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은 축적되고 있습니다. 이는 시간을 분으로 나타내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한 시간은 30분이고, 하루는 360분입니다. 한달은 10,800분이며, 1년은 129,600분입니다. 원회운세에서 1세(30년)는 사람이 태어나서 결혼하고 자식을 낳아 가정을 이루는 시간대로, 세대世代라는 말이 여기에서 나왔습니다.* 1운(360년)은 국가가 흥망하는 시간대이며, 1회(10,800년)는 우주의 한달로 문명이 부침하는 시간대입니다. 그리고.. 2023. 9. 9.
<원회운세>년월일시가 쌓여 이루는 원회운세-129600년 년월일시가 쌓여 이루는 원회운세-129600년 년월일시가 쌓여 이루는 원회운세-129600년 년월일시가 쌓여 이루는 원회운세 시간은 초가 쌓여 분을 이루고, 분이 쌓여 시를 이룹니다. 시간은 이렇게 작은 시간이 쌓여 큰 시간을 이루면서 무한으로 나아갑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년월일시’는 시간의 기준으로, 이보다 작은 시간과 큰 시간도 각기 고유한 명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강절 선생은 『황극경세서』에서 작은 시간단위는 ‘분리사호分釐絲毫’, 큰 시간단위는 ‘원회운세元會運世’라고 하셨습니다. [일월의 법칙: 30과 12] 앞에서 시간의 단위는 해와 달의 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해의 주기는 30(년과 일), 달의 주기는 12(월과 시)를 반복한다는 것을 알아봤습니다. 년월일시에서 12와 30이 반복되는.. 2023. 9. 6.
<사주팔자>일년의 시간단위, 년월일시 일년의 시간단위, 년월일시 일년의 시간단위, 년월일시 해와 달이 빚어내는 년월일시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의 기본단위로는 ‘년월일시’가 있습니다. 앞서 알아본 것처럼 년年은 해와 관련이 있습니다.* 월月은 한자의 뜻 그대로 달과 관련이 있고, 일日은 해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時는 무엇과 관련이 있을까요? 1년, 2년’을‘ 한 해, 두 해’라고도 한다.‘ 1년, 새해, 세월, 나이’ 등을 뜻하는‘ 세歲’ 자에도‘ 해’의 뜻이 들어 있다. 이는 시간의 단위가 해와 달의 주기를 번갈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즉 시간 단위의 기준은‘ 일월일월’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년과 일은 해를 기준으로 정하고, 월과 시는 달을 기준으로 정합니다. 이러한 기준은 동양의.. 2023. 9. 5.
<시간의 변화 법칙>시간의 비밀, 천지일월의 변화법칙 시간의 비밀, 천지일월의 변화법칙 시간의 비밀, 천지일월의 변화법칙 동양에서는 하늘이 인간세상의 흥망성쇠를 주관한다고 믿었습니다. 역대 왕조는 하늘의 뜻이 별들의 변화로 나타나며 나라의 안녕과 직결된다고 여겼습니다. 또한 하루의 시간에 맞춰 생활하고, 일년 사계절에 따라 농사를 지어야 했던 인류에게 시간의 법칙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하늘의 움직임을 파악해서 백성들에게 농사지을 절기와 시간을 정확히 알려주는 일은 임금의 가장 중요한 책무이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 역법의 완성체라 할 수 있는 『칠성산七政算내편』과 『칠정산 외편』 … 왜 역법에 ‘칠정산’이란 이름이 붙여졌을까? … 원래 정치란 하늘의 뜻을 이땅 위에 실현하는 일이고, 따라서 하늘의 별들이 이세상의 정치현상을 반영한.. 2023. 9. 5.
<삼신>인생의 첫 출발-탄생 인생의 첫 출발-탄생 인생의 첫 출발-탄생 >>무료 소책자 신청 클릭무료 소책자 신청 클릭 2023. 8. 11.